군 입대를 앞둔 재외국민이라면 아마 입영통지서 이메일 수령 후 가장 먼저 떠오르는 궁금증이 이것일 거예요.
“나라사랑카드는 대체 어디서 발급받는 거지?”
저도 같은 고민을 했고, 지금 이 글을 통해 여러분이 겪을 시행착오를 줄여드리려고 해요.
✦ 나라사랑카드는 뭐고, 왜 필요한가요?
나라사랑카드는 군 복무 중 병사들이 급여, 교통, 병원비, 복지포인트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병사 전용 체크카드입니다.
입영일 당일 반드시 지참해야 하며, 실제로 군대 내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요.
→ 안 들고 가면 난감해집니다.
✦ 재외국민은 어디서 나라사랑카드를 만들 수 있나요?
해외에 거주하는 분들은 국내처럼 간단히 은행 창구에서 발급받기 어렵죠.
하지만 방법은 있어요. 딱 2가지입니다.
1. 한국 방문 중 미리 발급받기
입국 일정이 잡혀 있다면 국내 은행 방문 시 미리 발급받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확실해요.
- 발급 가능한 은행: 국민은행, 농협, 우리은행
- 필요 서류: 여권, 입영통지서 사본 (출력본 가능), 거주증명서 (재외국민인 경우)
→ 현역병 입영통지서가 있어야 발급이 가능하니, 반드시 이메일에서 출력해 지참하세요.
2. 입영 당일 입소부대 근처 은행에서 발급
공식적으로는 입영장소 근처 협약은행에서 발급 가능하다고 안내하고 있지만,
시간 부족이나 발급지연 문제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비추합니다.
✦ 나라사랑카드 발급, 나도 이렇게 했다 (경험담)
저는 해외에서만 생활하다가 입대하게 되어 나라사랑카드가 뭔지도 몰랐어요.
입영통지서를 이메일로 받은 후, 관련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를 찾았고, 다행히 한국에 일찍 입국한 덕분에 국민은행에서 무사히 발급 완료했죠.
은행 직원도 “입영 예정자 맞냐”고 확인하더니 바로 발급 절차를 진행해주셨고,
발급까지 30분 정도 소요됐습니다.
✦ 입영 전 꼭 챙겨야 할 체크리스트
✔ 입영통지서 출력본 (E-mail 확인 후 A4로 인쇄)
✔ 신분증 (여권, 주민등록증 등)
✔ 나라사랑카드 (발급된 실물카드)
✔ 나라사랑카드 발급증명서 (없는 경우도 무방)
→ 입대 당일에 한 번에 확인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모두 한 폴더에 넣어두세요.
✦ 추가 팁: 나라사랑카드는 단순 카드 그 이상
이 카드에는 단순 결제 기능 외에도 복무 중 병사복지 포인트 적립
그리고 훈련소/부대 내 교통카드 기능, 급여 수령 계좌 역할까지 하니까
군 생활의 필수템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Summary 요약 (한/영)
🇰🇷 요약
- 나라사랑카드는 입영 시 필수
- 재외국민도 입국 후 국내 은행에서 발급 가능
- 입영통지서와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
- 입영 당일 발급은 비추천
🇺🇸 Summary
- Nara Sarang Card is mandatory on enlistment day.
- Overseas Koreans can apply at partner banks after arriving in Korea.
- Bring your enlistment notice and ID.
- Don’t wait until enlistment day to issue it.
오늘 내용, 제대로 기억하셨나요?
Q. 재외국민도 입대 전에 나라사랑카드를 반드시 발급받아야 한다?
Yes or No?
👉 정답: Yes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 구독 부탁드립니다!
더 많은 입대 준비 정보, 실제 경험담을 정리해 드릴게요. 감사합니다.
입대 준비 중이신가요? 이 글이 입대 전 고민을 조금이라도 덜어드렸다면 아래 광고도 한 번씩 클릭 부탁드려요. 당신의 클릭이 제게 큰 도움이 됩니다.
'군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UDT 체력·수영 평가 완전정복] 실제 평가방식, 과락 기준까지! 지원 전 꼭 알아야 할 핵심정리 (1) | 2025.04.25 |
---|---|
UDT/SEAL 특전병, 지원만큼 중요한 선발 기준 총정리! 놓치면 불합격 사유까지 한눈에 (2) | 2025.04.25 |
특전병(UDT/SEAL) 지원서 접수 기간, 매년 1회만? (0) | 2025.04.25 |
진짜 해군 특전단(UDT/SEAL)이 되고 싶다면? (0) | 2025.04.25 |
대한민국 최정예 특수부대 707 특임단, 어떻게 지원할 수 있을까? (1)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