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에어컨

“에어컨에서 곰팡이 냄새?” 홈멀티 에어컨 냄새 잡는 법 총정리!

에메랄드 같은 영혼 2025. 5. 9. 19:48
반응형

여름에 에어컨 켰는데... 뭔가 쿰쿰하고 찝찝한 냄새?
특히 홈멀티 에어컨에서 곰팡이 냄새가 나면 진짜 곤란하죠.

 


곰팡이 냄새, 왜 나는 걸까?

에어컨을 켜면 시원한 바람과 함께 곰팡이 냄새가 확 퍼지는 이유는 대부분 아래 중 하나입니다.

  • 먼지거름필터에 먼지가 쌓여 있음
  • 내부에 수분이 남아 곰팡이가 생김
  • 필터 교체 주기가 지났거나, 스마트 냉방 세척 기능 미사용

특히 요즘같이 습한 날에는 필터에 쌓인 수분이 제대로 건조되지 않으면 금방 냄새가 배기 시작해요.


해결 1: 필터 청소는 기본 중의 기본

먼지거름필터는 2주에 한 번 정도 꼭 청소해주세요.
물세척이나 진공청소기로 먼지를 제거해주면 기본적인 냄새 문제는 많이 개선됩니다.

구매한 지 2년 이상 된 제품이라면, 전문 필터가 들어있는 모델일 수 있는데, 이 경우 필터 교체 시기가 지난 건 아닌지 확인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해결 2: 스마트 냉방 세척(워시크린) 기능을 활용하세요

냉방을 오래 쓰면 내부 냉각판에도 이물질이 생기고, 수분이 남아 냄새의 원인이 됩니다.
이럴 때는 꼭 스마트 냉방 세척 기능을 사용해 주세요.

  • 워시크린 기능은 내부 열교환기에 수분을 만들어 자동 세척한 뒤, 송풍으로 건조하여 냄새를 제거합니다.
  • 2018년 이후 제품은 리모컨으로 쉽게 작동 가능해요.

리모컨 작동법 예시 (제품 꺼진 상태):

  • 마이크 버튼 있음 → 마이크+무풍 5초 이상 누르기
  • 마이크 버튼 없음 → 모드+무풍 5초 이상 누르기

또는 부가기능에서 화살표로 워시크린을 선택해 주세요.

모델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제습 → 송풍 또는 동결 → 해동 → 세정 방식으로 작동됩니다.
시간은 대략 50~80분 걸립니다.


해결 3: 평소 사용 후 송풍운전으로 마무리하기

습기 제거를 위해 에어컨을 끄기 전에 1~20분간 송풍 운전을 해주는 습관을 들이면 곰팡이 냄새를 미리 방지할 수 있어요.

2009년 이후 제품이라면 자동청소 기능이 있는지도 확인해 보세요.
리모컨에 [청소] 버튼이 있다면 설정해두세요.
에어컨 종료 후 자동으로 송풍하여 내부를 말려주는 기능입니다.


그럼, 2018년 이전 모델은 어떻게?

스마트 냉방 세척 기능이 없는 경우에도 해결 방법은 있습니다.

  • 냉방 운전 2시간 + 청정 또는 송풍 30분 추가 작동
    이렇게 환기 상태에서 사용하면, 내부 습기를 제거해 냄새를 줄일 수 있어요.

마무리 체크리스트

  • 먼지거름필터 청소: 2주에 한 번
  • 필터 교체 주기 확인: 2년 이상 사용 시
  • 워시크린 기능 사용: 냉방 후 꼭 실행
  • 송풍 or 자동청소 기능 사용: 종료 전 습기 제거

오늘 내용, 제대로 기억하셨나요?

Q. 스마트 냉방 세척(워시크린) 기능은 송풍 없이 내부 습기를 제거한다?
Yes or No?
정답: No!
워시크린은 송풍으로 내부를 건조시켜 냄새를 제거합니다.


Summary 요약

[한글]
홈멀티 에어컨에서 나는 곰팡이 냄새는 대부분 필터 청소 부족, 수분 잔류, 기능 미사용 등으로 발생합니다. 필터 청소를 주기적으로 하고, 워시크린 기능을 사용하며, 송풍 모드를 꾸준히 활용하면 냄새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English]
Mold odors in home multi air conditioners are usually caused by unclean filters, leftover moisture, or underused functions. Regular filter cleaning, use of the wash-clean feature, and consistent airflow after use can effectively eliminate unpleasant smells.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 구독 부탁드립니다!